strategy stealing argument

끄적끄적 독학일기/Combinatorial Game Theory

[Game of Chomp] (0)Game of Chomp!

Discrete Mathematics 수업 때 접하게 된 Game of Chomp. 처음에 rule을 몰랐을 때는 그냥 31게임의 외국 버전인가?라고 생각했는데, 닮아있는 듯 약간의 차이가 있다. Game of Chomp의 rule을 아래 그림과 함께 살펴보자. Rule 1. 두 명의 플레이어가 한 번씩 번갈아가며 플레이한다. 2.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차례가 오면 하나의 버섯을 선택하고, 그 버섯을 기준으로 오른쪽과 아래쪽 사각형 바운드 내의 버섯을 모두 가져간다. (그림 1 참조) 3. 가장 왼쪽 위의 버섯은 독버섯이고, 이를 먹는 자는 게임에 패배한다. 패배의 결말은 죽음 nim game이나 tic-tac-toe 처럼 한판이 엄청나게 짧다. 그냥 가볍게 생각 없이 하기 괜찮은 게임인 듯하다. 이런 ..

끄적끄적 독학일기/Combinatorial Game Theory

Strategy stealing argument [0. 정의]

Strategy Stealing argument : 전략 훔치기 논증(?) 한국어로 번역된 용어를 찾기가 힘들어 직역할 수 밖에 없었다. 전략 훔치기 논증이라니,그 이름만큼이나 내용도 흥미롭다. 바로 알아보자 Definition> "Strategy stealing" argument 만약 게임에서 두 번째 플레이어(이하 후공자)에게 "항상 이기는 전략" 이 있다고 가정하면, 첫번째 플레이어(이하 선공자)는 이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"훔칠 수" 있다. 선공자는 자신의 첫번째 턴에 의미없는 랜덤한 수를 둔다. 그 다음, 후공자의 첫번째 턴의 수를 토대로, "항상 이기는 전략"을 실행한다. 조금 더 쉽게 풀어서 이야기해보자. 일단 기본적인 가정은 >> 후공자에게 "항상 이기는 전략" 이 있다면 ..! 이 말인..

너무자몽다
'strategy stealing argument' 태그의 글 목록